본문 바로가기

조직이란무엇일까?

조직의 유형론 및 용도와 기준

1.조직유형론의 용도

조직의 종류를 분류하여 설명하는 유형론은 조직이라는 개념의 의미를 분명히 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조직유형론은 조직들을 비교연구하는 데 길잡이를 제공한다. 어떤 개념의 뜻하는 바를 분명하게 하기 위해서 사람들은 그것을 한정하기도 하고 분류하기도 한다. 조직의 정의는 조직개념의 한정에 해당한다. 조직개념의 보다 분명한 이해를 위해서는 그것을 분류하는 유형론이 또한 필요한 것이다. 조직에는 어떤 종류들이 있는가를 알면 조직현상이 무엇인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직이라는 개념의 명료화를 위한 관념적 필요 때문에만 조직의 유형을 분류하는 것은 아니다. 실재하는 조직을 더 잘 다루고 연구할 수 있도록 길잡이를 제공하려는 것이 조직유형론의 보다 중요한 또는 기본적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많고 복잡한 현상을 다루려 할 때 사라들은 항상 이를 분류해야 하는 필요에 직면하게 된다. 조직현상을 다룰 때에도 이치는 마찬가지이다. 조직연구의 실제에서 조직유형론이 반드시 필요하고 또 그것이 가장 요긴하게 쓰이는 경우는 조직들을 비교연구 할 때이다. 이 점에 주목하는 사람들은 조직유형론을 비교조직론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친다. 오래전부터 조직연구인들은 조직의 분류를 단편적으로나마 시도해 왔으며 근래에 와서 점차 더 많은 연구인들이 조직유형론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조직이론이 대상으로 하는 조직의 종류가 많아질수록, 그리고 상황적응적 접근방법과 조직을 비교연구하는 활동이 확대될수록 조직유형론 발전의 필요는 더욱 커지고 있다. 조직은 복잡한 현상이라 한다면 조직의 분류에도 그러한 복잡성이 반영되어야 할 터인데 지금까지 많은 연구인들이 제시한 조직유형론은 단속한 것들이다. 그들의 유형론은 복잡한 조직현상의 현저한 단순화에 기초를 둔 것이다. 단일 기준적인 유형론도 많다. 보편성이 높은 통합적 조직유형론의 발전은 현대조직학의 이상이지만 쉽게 성취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조직유형론의 대강을 이해할 수 있도록 조직분류의 기준으로 흔히 쓰여온 조직의 속성 또는 변수들을 알아보고 이어서 중요한 조직유형론의 예를 몇 가지 소개하려 한다.

 

2. 조직분류의 기준

유형이 다른 조직들을 명확하게 그리고 유의미하게 구별해 줄 수 있는 유형론의 발전을 위해 연구인들은 분류기준이 될 조직특성 또는 변수의 범주들을 탐색해 왔다. 어떤 사람들은 연역적인 방법으로 분류기준이 될 변수의 범주들을 제안하고 있다. 또 어떤 사람들은 단편적인 유형론들을 널리 모아 그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분류기준의 유형들을 종합, 정리하고 있다.

1) 목표를 기준으로 한 유형론

조직의 목표는 조직의 평가 기준으로 그리고 비교기준으로 널리 쓰여 왔다. 조직목표를 기준으로 한 유형론은 오래전부터 시도되었으나, 조직목표의 유형은 여러 가지라고 보는 관념을 조직학이 의식적으로 확인하면서부터 목표 기준의 활용이 본격화되었다. 조직의 목표를 기준으로 삼은 조직유형론의 예로 조직의 목표를 사회적 기능으로 파악하고 목표유형을 먼저 분류한 다음 그에 따라 조직유형을 분류한 것, 조직의 기본적 기능에 목표를 연관 지어 파악하고 그 유형에 따라 조직을 분류한 것, 조직 활동의 주된 수혜자에 조직목표를 연관 짓고 그에 따라 조직유형을 분류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2) 구조와 과정이 특성을 기준으로 한 유형론

조직의 구조나 과정이 다르면 조직 전체의 성격도 달라진다. 조직의 구조와 과정에 관한 주요 변수들은 조직유형론의 기준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어 왔다. 구조와 과정을 기준으로 하는 조직유형론 가운데서 오래전부터 널리 인용되어 온 것은 권한, 규칙제정집단, 관료의 임명기준 등 구조적 요인의 관료적 특성에 따른 관료제유형의 분류이다. 그 밖에도 복종의 구조, 유인기제, 집권화, 복잡성, 공식화, 전문화, 표준화, 적응성 등 구조적 특성을 기준으로 하는 유형론들을 볼 수 있다.

3) 기술을 기준으로 한 유형론

조직이 사용하는 기술은 근래 많은 연구인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들은 기술이 조직의 구조와 활동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조직이 활용하는 기술이 다르면 조직의 성격도 달라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조직유형론을 발전시키고 있다. 기술을 구조적 특성을 좌우하는 하나의 요소로 보아 조직의 구조라는 기준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기술은 지금까지 조직유형론의 기준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유지해 왔기 때문에 독자적인 기준의 범주로 삼는 것이다.

4) 구성원 또는 고객을 기준으로 한 유형론

조직구성원의 전문성 등 인적 특성이 조직분류의 기준으로 쓰이는 경우가 흔히 있다. 조직의 고객 또는 조직이 처리하는 사람들과 조직이 어떤 관계를 유지하고 있느냐 하는 것도 조직유형론의 기준이 된다. 예컨대 조직이 고객에게 갖는 관심의 폭 그리고 조직과 고객이 관계를 맺는 시간의 길이를 조직분류의 기준으로 쓸 수 있다.

5) 환경적 특성 또는 환경과 조직의 관계를 기준으로 한 유형론

조직을 둘러싸고 있는 일반적 환경, 즉 기술적, 정치적, 법적, 경제적, 사회적 조건들은 조직과 영향을 주고받는다. 조직은 또한 그것이 거래하는 구체적 환경과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받는다. 이와 같은 교호작용관계에 착안한 조직유형론은 대단히 많다. 그러한 유형론의 예로 일반적 환경의 특성, 기업체와 그것이 처해 있는 시장의 관계, 조직 집합 또는 조직망 내의 조직들이 공동의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의 특성, 조직 간 관계의 특성 등을 기준으로 하 유형론을 들 수 있다.

6) 조직문화의 특성을 기준으로 한 유형론

조직문화의 여러 특성들을 기준으로 하는 유형론들이 있다. 예컨대 문화의 통합성, 다양성, 권력거리, 문화변용의 과정 등을 기준으로 하는 조직유형론들이 있다. 위에서는 조직학 문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조직유형론의 기준들을 검토하였지만 그러한 기준들은 결코 망라적인 것이 아니다. 조직의 모든 속성 그리고 조직과 교호작용하는 모든 요인들은 조직을 분류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의 무한한 잠재적 분류기준 가운데서 유의미하고 효용이 큰 분류기준을 골라 내고 그것을 범주화하는 것은 통합적 유형론의 발전을 위해 해결해야 할 일차적 과제이다.

 

3. 조직유형론의 예시

조직유형론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자주 인용되어 왔거나 근래에 개척된 조직유형론들을 몇 가지 소개하려 한다. 다음에 볼 유형론들 가운데는 단일기준적인 것도 있고 복수 기준적인 것도 있다. 특정한 조직유형 하나만을 설명하고 그것과 대조되는 다른 유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이론도 많다. 이런 이론은 엄격한 의미의 조직유형론이라 할 수 없지만 하나의 예만 보기로 한다. 학습조직을 그 예로 골랐다. 학습조직에 대한 설명에는 학습에 무능한 전통적 조직에 대한 비교가 함축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일종의 유형론이라 볼 수도 있을 것이다.

1) Parsons의 유형론

조직이 추구하는 대사회적 목표 또는 사회적 기능이 무엇인가를 기준으로 네 가지 유형의 조직을 분류하였다. 분류기준은 Parsons는 사회전체가 수행해야 할 기능을 적응, 목표성취, 통합 그리고 체제유지로 분류하였다. 적응은 자원을 확보하는 기능이다. 목표성취는 목표의 설정과 집행에 관한 기능이다. 통합은 체제구성부분들을 조정하고 결속을 유지하는 기능이다. 체제유지는 문화와 가치를 창출, 보존하고 전승시키는 기능이다.

2) 조직의 유형

위의 네 가지 사회적 기능 가운데서 어떤 범주에 주로 기여하는가에 따라서 네 가지의 조직유형을 분류하였다. 먼저, 경제적 생산을 지향하는 조직은 사회의 적응기능에 기여하는 것이 경제적 생산을 지향하는 조직이다. 이 유형은 사회가 소비하는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는 조직이다. 그 예로 사기업체를 들 수 있다. 둘째, 정치적 목표를 추구하는 조직은 사회의 목표성취에 기여하는 것이 정치적 목표를 추구하는 조직이다. 이 유형은 사회 내에서 권력을 창출, 분배하며 사회가 바람직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려는 조직이다. 행정기관과 은행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셋째, 통합 기능적 조직은 사회의 통합기능에 기여하는 것이 통합 기능적 조직이다. 이 유형은 사회 내의 갈등을 해결하고 사회의 구성 부분들이 공존, 협동 할 수 있게 하며 제도적 기대의 실현에 기여하도록 사회 구성원들의 동기를 유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조직이다. 법원, 정당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넷째, 체제 유지적 조직은 사회의 체제 유지 기능에 기여하는 것이 체제 유지적 조직이다. 이 유형은 교육, 문화 등의 활동을 통해서 사회의 지속성을 유지하려는 조직이다. 교육기관, 종교단체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